|
-
[비공개] 상륙함정(38,마지막회)-상륙로켓함(LSMR)
38. 상륙로켓함(LSMR) 1944년 중반부터 미해군은대형상륙지원정(LCS(L) = Landing Craft, Support, Large)이 장비한3인치(76.2mm) 주포의 위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느끼고 있었다. 미해군 병기국은 1944년 8월에 5인치(127mm) 양용포를 대형보병..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5 11:07 am추천 -
[비공개] 이형근 장군은 정말 6.25 첫날 한강 방어를 주장했을까?
6.25 개전시 방어계획에 의한 후방 사단의 전선 투입 나는 이형근 장군의 6.25 첫날 회고록 부분을 사실대로 기록한 것이 아니라 나중에 결과를 보고 지어낸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여기서는 6.25 첫날 육군본부에서 한강선방어를 ..금성천의 한국전쟁사|2012-09-14 04:28 p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7)-상륙로켓정(LCIR)
36. 상륙로켓정(LCIR) 대형보병상륙정(LCIL)을 개조한 화력지원정 중에서 로켓을 주무장으로 사용하는 상륙로켓정(LCI(R) = Landing Craft, Infantry, Rocket)은 남태평양해역군에서 개조한 형식과 태평양함대에서 개조한 형식이 있다. 남태..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4 11:11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6)-상륙포정(LCIG)과 상륙박격포정(LCIM)
36. 상륙포정(LCIG)과 상륙박격포정(LCIM) 진주만을 모항으로 하는 제5함대는 남태평양해역군과는 별도로 대형보병상륙정(LCIL)들을 화력지원정으로 개조했는데, 개조 순서에 따라 A, B, C, D 의 4가지 형식으로 나눈다. A 형식은 LCI(L..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3 11:16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5)-대형상륙지원정(LCSL)
35. 대형상륙지원정(LCSL) 쓸만한 근접화력지원정이 없어서 상륙작전시 영국해군으로부터 얻어써야 했던 대서양함대와 달리 진주만이나 누메아처럼 함정의 수리 및 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자산을 충분히 가지고 있던 태평양함..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2 11:14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4)-미해군의 혼란
34. 미해군의 혼란 히긴스 보트를 기반으로 소형상륙지원정(LCSS)을 만든 미해군 함선국은 1942년 8월부터 경전차에 사용되는 37mm 포탑을 장착한 대형상륙지원정(LCS(L) = Landing Craft, Support, Large)의 개발에 나섰으나 처음부터 난항을..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0 11:10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3)-소형상륙지원정
33. 소형상륙지원정(LCSS) 미해병대는 일찍부터 상륙준비포격으로 상륙해안의 방어선을 완전히 무력화시킬 수는 없으며, 기관총이나 소구경 화포가최초 제파와 동시에 해안에 도착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따라서 해..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08 11:09 am추천 -
[비공개] 노획한 북한군 지프를 타고 나타난 수도사단장
수도사단 직할부대인 학도병, 민간인으로 편성된 호림, 백골, 영남부대가 길안국민학교 운동장에 집합했다. 안동에서 철수한 사단 주력은 낙동강 남안의 방어로 다소 전선이 소강상태였기 때문에 사단장에게 얼마간 짬이 생..금성천의 한국전쟁사|2012-09-07 03:43 pm추천 -
[비공개] 1차 새계대전의 파괴된 전차 외(19금)
(글의 앞부분이 이미지 혹은 HTML 태그만으로 되어있습니다)빤스지기의 전쟁사,무기,군사서적|2012-09-06 01:09 p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2)-상륙통제정(LCC)
32. 상륙통제정(LCC = Landing Craft, Control) 영국해군은 제2차 세계대전 초기에 상륙작전시 해안을 향해 나아가는 상륙주정들이 길을 잃기 쉽다는 점을 발견했다. 그리하여 1942년 1월에 대형병력상륙정(LCPL)에 추가적인 나침반과 해..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06 11:10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1)-상륙지휘함(2)
31. 상륙지휘함(2) 상륙지휘함 중 C2-S-B1 선형인 최초의 3척(AGC 1-3)은 모두 건조 도중에 해군에 징발되어 1943년 9월 말부터 10월 초에 걸쳐 취역했다. AGC-1 애팔래치안은 1944년 초의 마셜 제도 상륙작전부터 시작하여 괌 상륙작전,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05 11:05 am추천 -
[비공개] 3군단 해체의 결정적 계기
(현리에서 포위되어 방태산 을수재를 거쳐 철수하고)하진부리에서 재편성한 3군단은 속사리-월정리 간에 방어선을 편성하였으나 공산군의 공격을 저지하지 못하고 21일 밤에 다시 철수하게 되자 마침내 군단이 해체되는 비운..금성천의 한국전쟁사|2012-09-01 12:10 p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0)-상륙지휘함(1)
30. 상륙지휘함(1)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을 때 어느 나라든지 상륙작전시 기함은 대부분 순양함 급 이상의 대형 전투함들이 맡았다. 그런데 영국은 1940년의 다카르 상륙작전에서 주요 전투함들은 적의 함대를 맞아 싸우기..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01 11:12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29)-고속수송함과 폰툰
29. 고속수송함과 폰툰(Pontoon) 제2차 세계대전에서 널리 쓰인 또 한가지의 상륙함정은 고속수송함(APD = Auxiliary,Personnel,Destroyer)였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의 평갑판형구축함을 개조한 고속수송함 36척 중에서 11척이 종전시까지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8-30 11:08 am추천 -
[비공개] 김석원 장군의 육참총장 기용을 막은 미군
1사단에 대한 군사고문단의 평가 이번 조사의 결과 현재 1사단 구역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방어상의 위험한 취약점이 있음이 드러났다. a. 경계 순찰이 전무한 상태이다. b. 현재 38선상에서 돌파되어 침범당한 지역에 전초..금성천의 한국전쟁사|2012-08-29 03:42 pm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