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전쟁에 대한 검색결과908건
  • [비공개] 티니안 전투(10)-보급 및 승함(1)  

    10. 보급 및 승함(1)미해군과 해병대의 보급조직에게 있어서 티니안 전투의 보급 문제는상반되는 두 가지의 면을 가지고 있었다.우선 보급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륙주정이 쉽게 티니안과 사이판 사이를 왕복하면서 보급을 할 수..

    추천

  • [비공개] 티니안 전투(9)-어디에 상륙할 것인가?  

    9. 어디에 상륙할 것인가?통합원정군 사령관 리치먼드 켈리 터너 해군중장은 사이판 함락 전날인 1944년 7월 8일에 기함 록키마운트 함상에서 티니안 상륙에 대하여 회의를 열었다.여기서 상륙 해안 선정을 두고터너 제독과 해..

    추천

  • [비공개] 티니안 전투(8)-지휘관 교체 및 부대 조정  

    8. 지휘관 교체 및 부대 조정사이판 상륙 당시 리치먼드 켈리 터너 해군중장의 부사령관 역할을 했던 해리 힐 해군소장은 1944년7월 15일에터너 제독이 겸임하던 북부공격군(Nothern Attack Force, TF 52) 사령관이 되어 티니안 상륙을 ..

    추천

  • [비공개] 티니안 전투(7)-사전폭격  

    7. 사전폭격티니안에 대한 항공기의 사전폭격은 야포나 함포보다 빠른 1944년 6월 11일에 마크 미처 제독이 지휘하는 제58기동부대의 함재기들이 티니안을 공습하면서 시작되었다.당시 제58기동부대의 목적은 티니안의 일본군들..

    추천

  • [비공개] 티니안 전투(6)-사전포격(2)  

    6. 사전포격(2) - 함포티니안에 대한 함포사격은 사이판 상륙 이전부터 시작되었다.사이판 상륙 이틀 전인 6월 13일부터 제52기동부대의 화력지원함정들이 티니안을 포격했다.이 단계에서의 목적은 티니안의 일본군이 화포나 항..

    추천

  • [비공개] 티니안 전투(5)-사전포격(1)  

    5. 사전포격(1) - 야포1944년 6월 11일부터 43일간 사전포격 및 폭격을 당한 티니안은태평양전쟁에서 유례없이 사전포격 및 폭격을 많이 당한 섬이 되었다.티니안에 대한 사전포격 및 폭격은 기간이 길 뿐만 아니라 함포 사격과 항..

    추천

  • [비공개] 티니안 전투(4)-일본군의 방어태세(2)  

    4. 일본군의 방어태세(2) - 배치티니안의 일본군들을 지휘한 제50보병연대장 오가타 다케시 대좌는티니안을 3개의 방어구역으로 나누었다.(일본군 방어구역. http://www.ibiblio.org/hyperwar/USA/USA-P-Marianas/USA-P-Marianas-13.htmlP.281)라소 산 ..

    추천

  • [비공개] 티니안 전투(3)-일본군의 방어태세(1)  

    3. 일본군의 방어태세(1) - 병력미군의 침공 당시 티니안을 지키던 일본군의 숫자를 미해군과 해병대는 약 9,000 명, 미육군은 약 8,000명 정도로 보고 있다.티니안 수비대의 주축은 오가타 다카시 대좌가 지휘하는 제29보병사단 제..

    추천

  • [비공개] 티니안 전투(2)-티니안 섬  

    2. 티니안 섬티니안 섬의 면적은 약 101㎢로 사이판보다 약간 작으며남북의 길이는 약 20km, 동서의 폭은 최대 8km 정도이다.전형적인 열대 계절풍 기후로 우기인 7월에서 10월까지는 매달 평균 300mm 가까운 비가 내린다.지형은 평..

    추천

  • [비공개] 티니안 전투(1)-배경  

    1. 배경사이판에 상륙한 해병대는 하와이로부터5,100km 를 항해해야만 했으나 다음 목표인티니안에 상륙하기 위해서는 5km의 해협만 건너면 되었다.태평양전쟁에서 이 정도로 짧은 거리는 이례적인 것이었으며 이는 티니안 상륙..

    추천

  • [비공개] 댓글달기 수상자 발표  

    사이판 전투 61회부터 110회까지 총 50회의 포스팅에 1위로 댓글 단 횟수를 집계해보니..Regenschein 님이 29회로 1위, aulakiria 님이 14회로 2위, 그리고 mig35 님이 3회로 3위를 차지했습니다.이외에 샤른 님이 2회, 갓라이꾸 님과 고독한 ..

    추천

  • [비공개] 사이판 전투(109)-결론(3)  

    109. 결론(3)- 보급 및 의료상륙작전에서의 보급은 가장 잘 이루어졌을 때라도 초보자가 보았을 때는 완전한 혼란 그 자체로 느껴질 정도로 어렵고 까다로운 작업이다.(블루비치1 의 양륙 광경. http://www.ibiblio.org/hyperwar/USA/USA-P-Mar..

    추천

  • [비공개] 사이판 전투(108)-결론(2)  

    108. 결론(2) - 상륙장갑차, 전차, 공병 및 통신상륙장갑차(Landing Vehicle, Trracked = LVT)는 1943년 11월의 타라와 전투에서 처음으로상륙병력수송에 사용된 이래상륙작전의 총아로 군림해 왔으며 사이판 전투에서도 역시 유용성을 증..

    추천

  • [비공개] 사이판 전투(107)-결론(1)  

    107. 결론(1) - 화력지원사이판 전투에서 발생한 15,000 명 가까운사상자는 미본토에 큰 충격을 주었다.타임지는1944년 7월 10일자 기사에서 사이판 전투를 미군 역사상 가장 피비린내나는 전투의 하나라고 불렀다.그러나 사이판은 ..

    추천

  • [비공개] 사이판 전투(106)-사이판 점령  

    106. 사이판 점령1944년 7월 9일 아침에 해병제4사단은 사이판을 점령하기 위한 마지막 공격을 실시했다.사단의 좌익은 제2해병연대, 중앙은제24해병연대, 우익은 제25해병연대가 담당했다.일본군이 마피 산을 비롯한 몇몇 곳에서..

    추천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 61  다음

메일보내기 트위터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