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공개] 홍콩전투(7)-성문보 전투(1)
7. 성문보 전투(1) - 부실한 방어태세 1941년 12월 9일 아침이 되자 몰트비 소장은 일본군의 진격이 예상보다 빠르다는 것을 느꼈다. 몰트비 소장은 해군을 지휘하던 콜린슨 대령에게 구룡반도에서의 철수가 빨라질 수 있으니 구..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10-20 11:00 am추천 -
[비공개] 홍콩전투(6)-침공
6. 침공 홍콩 침공을 담당한 일본육군제38사단은 1941년 12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이동을 시작했다. 제229 및 제230연대는 1941년12월 1일에 주둔 중이던 불산(佛山)을 떠나 광저우를 지나 6일 저녁까지 심천강 대안에 도달했다. 제22..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10-17 11:00 am추천 -
[비공개] 홍콩전투(5)-공격준비(2)
5. 공격준비(2) - 편제 사카이 다카시 중장이 지휘하는제23군에서 홍콩 공략의 주력은 사노 타다요시 중장의 보병제38사단이었으며 아라키 가츠토시 대좌가 지휘하는 보병제66연대(아라키 지대)는 점령지를 방어했다. 화력 지원..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10-15 10:54 am추천 -
[비공개] 도와주세요!!
홍콩전투 연재 준비하면서 머리터지게 고민하던 문제를 정면으로 짚어 주셨네요. 그래서 우리말 한자어 독음으로 통일하기로 원칙을 정하겠습니다. 다만 제가 확인을 못하는 부분은 무조건 원문에 나오는대로 적고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10-14 10:33 am추천 -
[비공개] 홍콩전투(4)-공격준비(1)
4. 공격준비(1) - 계획 일본은 1940년 2월 9일에 중국 남부의 작전을 담당하는 남지나파견군을 창설했다. 창설 당시 지나파견군 예하였던 남지나파견군은 7월 23일에 대본영 직속이 되었다. 이듬해인 1941년 6월 28일에 대본영은 남..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10-13 11:00 am추천 -
[비공개] 홍콩전투(3)-방어준비(2)
3. 방어준비(2) - 배치 일본군의 침공을 받을 당시 중국사령관 크리스토퍼 마이클 몰트비 소장이 지휘하던 홍콩수비대는 의무대 및 세인트 존 야전병원 관계자를 포함하여 13,981명이었다. 영국 및 캐나다인이 8,919명, 인도 및 중..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10-10 11:00 am추천 -
[비공개] 홍콩전투(2)-방어준비(1)
2. 방어준비(1) - 계획 1937년에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이듬해인 38년 5월에 일본군이 홍콩에서 북동쪽으로 480km 정도 떨어진 아모이(Amoi)에 상륙하자 7월에 영국참모본부는 홍콩방어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참모본부는 홍콩..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10-08 11:00 am추천 -
[비공개] 홍콩전투(1)-홍콩
1. 홍콩 홍콩(香港)은 중국 남동부 광둥성 남쪽에 있는 특별행정구로 오늘날 정식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홍콩특별행정구(中華人民共和國香港特別行政區)이며 홍콩 섬, 주룽(九龍), 신계(新界), 그리고 230개의 부속 도서로 이루..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10-06 11:00 am추천 -
[비공개] 진주만 기습(39, 마지막회)-제3차 공습
39. 제3차 공습 진주만 기습을 둘러싼오래된 신화의 하나가 일본군이 제3차 공습을 실시하여 진주만의 해군기지 자체를 타격하지 않은 것이 큰 실수라는 주장이다. 일부는 기지타격이 함정공격보다 더 큰 효과를 가져와 태평..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09-26 11:00 am추천 -
[비공개] 진주만 기습(38)-의의
38. 의의 진주만 기습은 전술 및 작전술적 수준에서 보았을 때 해전사에 길이 남을만한 성공적인 대규모 기습이었다. 일본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대장은 여러 척의 항공모함으로부터 발진한다수의 함재기를 집..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09-24 11:00 am추천 -
[비공개] 진주만 기습(37)-선전포고
37. 선전포고 1941년 12월 7일 오후 2시 25분, UP(Unired Press) 통신사는 방송국과 신문사에 다음과 같은 긴급 전문을 발신했다. "워싱턴 - 백악관에서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했다고 발표하다." ("Washington - White House announces Japanese have atta..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09-22 11:00 am추천 -
[비공개] 진주만 기습(36)-루스벨트의 대응
36. 루스벨트의 대응 1941년 12월 7일은 일요일이었다. 오전 10시에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해군보좌관인 존 비어달 대령이 헐-노무라 회담의 결렬을 통보하는 일본군의 외교전보 중 마지막 14번째 전보를 해석한 것을 들고..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09-19 11:00 am추천 -
[비공개] 진주만 기습(35)-피해
35. 피해 태평양함대의 함정들은 진주만 기습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기습 당시 진주만에는 전투함정 70척과 보조함 24척등 총 94척의 함정이 있었다. 전투함정은 전함 8척, 중순양함 2척, 경순양함 6척, 구축함 29척, 잠수함 5척,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09-17 11:00 am추천 -
[비공개] 진주만 기습(34)-철수
34. 철수 일본함대는 12월 7일 오전 10시부터 제1차 공격대를 수용하기 시작했으며 제2차 공격대는 오전11시 15분부터 착함하기 시작했다. 마지막 함재기가 착함한 것은 12시 15분이었다. 바다는 이함 당시보다더거칠어져 착함이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09-15 11:00 am추천 -
[비공개] 진주만 기습(33)-요격 및 수색
33. 요격 및 수색 오아후의 북쪽에 있는 할레이와 비행장은 주로 훈련에 사용되는 예비 비행장으로 일본군은 그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 진주만 기습 당시 할레이와 비행장에는 제47전투비행대대 소속의 P-40 및 P-36 전투기 7대가..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4-09-12 11:00 am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