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로고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

http://https://blog.naver.com/imkcs0425?fromRss=true&trackingCode=rss
서로이웃 안 받습니다...........내과 전문의 김추성 평화는 강자의 특권이다. 약자는 평화를 누릴 자격이 없다. - 윈스턴 처칠
블로그"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에 대한 검색결과1578건
  • [비공개] 상륙함정(3)-상륙전술의 발달  

    3. 상륙전술의 발달 전간기 동안 미해병대가 상륙전의 모델로 삼은 것은 1915년에 영국이 실시했던갈리폴리 상륙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갈리폴리 상륙작전은 일반적으로 상륙을 가로막는 기관총의 위력을 보여준 ..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2)-20세기 전반기의 미해병대  

    2. 20세기 전반기의 미해병대 해군참모총장은 1915년에 직위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부터해병대에 대한 지휘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소장 계급의해병대 사령관이 해군참모총장을 거치지 않고 해군장관에게 직접 보고할 ..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1)-해군위원회와 해군참모총장  

    1. 해군위원회와 해군참모총장 19세기 말까지 미해군에는 전쟁 계획을 연구하는 전문가 집단이 없었고, 주로 의회가 이 역할을담당했다. 1898년에 벌어진 미서전쟁의 경험으로 미국은앞으로의 전쟁에서는해군 전략을 더 이상 ..

    추천

  • [비공개] 알류샨 전투(25, 마지막 회)-키스카 탈환  

    25. 키스카 탈환 일본군이 키스카를 탈출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던 미해군은 상륙을 앞두고 키스카 섬에 일련의 포격을 가했다. 1943년 7월 30일, 구축함 패러것과 헐이 일본군 주둔지에 200 발의 5인치 포탄을 쏟아 부었다. 8월 ..

    추천

  • [비공개] 알류샨 전투(24)-키스카 탈출(2)  

    24. 키스카 탈출(2) -해상철수 애투 섬이 함락되었을 때 키스카수비대는 육군인 북해수비대와 해군인 제51근거지대를 주축으로 하여 약 6,000 명 규모였으며,북해수비대 사령관 미네기 도이치로 소장이 지휘하고 있었다. 키스카..

    추천

  • [비공개] 알류샨 전투(23)-키스카 탈출(1)  

    23. 키스카 탈출(1) - 일본잠수함들의 수난 미군이 애투 섬에 상륙하자 갈팡질팡하던 일본해군은 1943년 5월 19일에 애투 섬과 키스카 섬 수비대의 철수를 결정했다. 전투가 벌어지고 있던 애투 섬 수비대는 일본제5함대의 경순양..

    추천

  • [비공개] 알류샨 전투(22)-키스카 고립  

    22. 키스카 고립 북태평양군 사령관 토머스 킨케이드 소장은 애투 섬이 함락되자 키스카 섬을 철저히 봉쇄하고 날씨가 허락하는 한 하루에 몇 번이고 공습을 가하라고 명령했다. 이 명령에 따라 미해군의 구축함들이 키스카 ..

    추천

  • [비공개] 니미츠(별들을 이끈 최고의 리더)  

    (책, 저자 및 역자에 대한 소개는 여기로) 니미츠 제독의 평전으로는 미해군사관학교의 엘머 포터 교수가 1976년에 펴낸 'Nimitz' 가 워낙 유명하고, 우리나라에서도 1997년에 번역, 출판되었습니다. 따라서 이후의 니미츠 평전은 ..

    추천

  • [비공개] 알류샨 전투(21)-히요 뇌격  

    21. 히요 뇌격 일본군이 애투 섬 전투를계기로 미군함대와 결전을 벌이기 위하여 도쿄 만에 일본연합함대의 주력을 모으자 암호해독을 통하여 이 사실을 알아낸미군 잠수함들이 몰려 들었다. 1943년 5월 20일에 유진 샌즈 소령이..

    추천

  • [비공개] 알류샨 전투(20)-비행장 건설과 S 보트들  

    20. 비행장 건설과S 보트들 미군 공병대는 1943년 5월 29일부터 애투 섬에 비행장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일본군이 건설 중이던 홀츠 만의 활주로를 조사한 공병대는 이곳이 비행장 건설에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내리고 새로운 활..

    추천

  • [비공개] 알류샨 전투(19)-애투 탈환전(7)  

    19. 애투 탈환전(7) - 옥쇄 1943년 5월 28일 저녁이 되자 애투 섬을 지키던 일본군들은 절망적인 처지가 되었다. 총 2,630명에 달하던 병력 중 전투가능한 병력은 800 명 남짓으로 줄어들었으며 무엇보다 탄약을 비롯한 보급품이 바..

    추천

  • [비공개] 알류샨 전투(18)-애투 탈환전(6)  

    18. 애투 탈환전(6) - 타개 브라운 소장으로서는 억울하게도 그가 제7사단장 직에서 해임당한 16일 오후부터 미군은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시작했다. 5일 간의 격렬한 함포 사격과 북부상륙부대(제1/17 및 제3/32대대)의 집요한 공..

    추천

  • [비공개] 알류샨 전투(17)-애투 탈환전(5)  

    17. 애투 탈환전(5)- 교착 홀츠 만에 상륙한 제1/17대대가 1943년5월 12일 아침에 눈을 뜨자 안개가 걷혔다. 제1/17대대는 자신들이 목표인 X 고지에서 800m정도 떨어져 있다는 걸 알았다. 병사들이 전진하자 밤새 X 고지를 차지한 일..

    추천

이전  101 102 103 104 105  다음

메일보내기 트위터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