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공개] 메이킨 전투(8)-사전 폭격
8. 사전 폭격 충격작전 준비가 진행되는 동안 제7육군항공대는 나우루와 길버트 제도에 대한 폭격을 실시하고 있었다. 제7육군항공대는 1943년 1월부터 길버트 제도에 대한 정찰비행을 시작했다. 1943년 4월 20일에는 푸나푸티를..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0-10 11:00 am추천 -
[비공개] 메이킨 전투(7)-적재
7. 적재 메이킨 환초 공략임무를 띤 북부공격부대의 병력, 장비 및보급품들은 공격수송함(APA) 4척, 공격화물수송함(AKA) 1척, 전차상륙함(LST) 3척, 상륙선거함(LSD) 1척에 실렸다. 전차상륙함 3척은 48대의 상륙장갑차(LVT) 를 실었고..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0-09 11:00 am추천 -
[비공개] 메이킨 전투(6)-보급
6. 보급 길버트 제도 침공을 목적으로 하는 충격작전(Operation Galvanic)의 준비과정에서 가장 큰 보급상의 문제는 상륙장갑차(LVT) 의 부족이었다. 타라와 상륙을 연구하던 해병제2사단의 작전참모 데이비드 쇼업 중령은 통상적인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0-08 11:00 am추천 -
[비공개] 메이킨 전투(5)-공격 준비
5. 공격 준비 중부태평양군 사령관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중장은 1943년 10월 25일에 길버트 제도 공략을 위한충격작전(Operation Galvanic) 명령을 내렸다. (중부태평양군 사령관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제독) 여기에 따르면 스프루언..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0-06 11:00 am추천 -
[비공개] 축!!다음주부터 매일 연재!!
바야흐로 모바일 시대를 맞이하여 제 블로그를 스맛폰으로 찾으시는 분들이 늘어남에 따라 스맛폰으로 보시는 분들의 편의를 위하여(사실은 방문객을 어떻게든 좀 늘려 보려는 속셈으로..) 다음주(10월 8일)부터 1회 포스팅의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0-05 05:45 pm추천 -
[비공개] 메이킨 전투(4)-일본군의 대응
4. 일본군의 대응 칼슨 대대가 떠난 다음날인 1942년 8월 19일에 일본군 비행정 4대가 마셜 제도에서 날아와서 저공비행으로 섬을 샅샅이정찰한 결과 미군이 떠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튿날인20일에 일본군 선발대가 비행정..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0-04 11:14 am추천 -
[비공개] 메이킨 전투(3)-칼슨 대대의 습격(2)
3. 칼슨 대대의 습격(2) 칼슨 대대는 상륙 2시간 만인 17일 오전 7시까지 43명으로 이루어진일본군 수비대를 사실상 궤멸시켰으나 일본군의 병력이 실제보다 훨씬 많은 80명 - 150명 선이라고 믿고 있던 칼슨 중령은 그 사실을 전혀..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27 11:07 am추천 -
[비공개] 메이킨 전투(2)-칼슨 대대의 습격(1)
2. 칼슨 대대의 습격(1)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처칠 영국수상은 영국 해병대를 잘게 쪼개서 특공대로 운용했다. 영국의 방식에 감명을 받은 루스벨트 대통령이 미 해병대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하려고 하자 해병사단, 더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26 11:10 am추천 -
[비공개] 메이킨 전투(1)-메이킨 환초
1. 메이킨 환초 태평양해역군은 1943년 11월 19일부터 중부 길버트 제도의 타라와 및 아베마마 환초와 북부 길버트 제도의 메이킨 환초를 점령하기 위한 충격 작전(Operation Galvanic)을 실시했다. (충격 작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24 11:28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8,마지막회)-상륙로켓함(LSMR)
38. 상륙로켓함(LSMR) 1944년 중반부터 미해군은대형상륙지원정(LCS(L) = Landing Craft, Support, Large)이 장비한3인치(76.2mm) 주포의 위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느끼고 있었다. 미해군 병기국은 1944년 8월에 5인치(127mm) 양용포를 대형보병..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5 11:07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7)-상륙로켓정(LCIR)
36. 상륙로켓정(LCIR) 대형보병상륙정(LCIL)을 개조한 화력지원정 중에서 로켓을 주무장으로 사용하는 상륙로켓정(LCI(R) = Landing Craft, Infantry, Rocket)은 남태평양해역군에서 개조한 형식과 태평양함대에서 개조한 형식이 있다. 남태..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4 11:11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6)-상륙포정(LCIG)과 상륙박격포정(LCIM)
36. 상륙포정(LCIG)과 상륙박격포정(LCIM) 진주만을 모항으로 하는 제5함대는 남태평양해역군과는 별도로 대형보병상륙정(LCIL)들을 화력지원정으로 개조했는데, 개조 순서에 따라 A, B, C, D 의 4가지 형식으로 나눈다. A 형식은 LCI(L..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3 11:16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5)-대형상륙지원정(LCSL)
35. 대형상륙지원정(LCSL) 쓸만한 근접화력지원정이 없어서 상륙작전시 영국해군으로부터 얻어써야 했던 대서양함대와 달리 진주만이나 누메아처럼 함정의 수리 및 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자산을 충분히 가지고 있던 태평양함..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2 11:14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4)-미해군의 혼란
34. 미해군의 혼란 히긴스 보트를 기반으로 소형상륙지원정(LCSS)을 만든 미해군 함선국은 1942년 8월부터 경전차에 사용되는 37mm 포탑을 장착한 대형상륙지원정(LCS(L) = Landing Craft, Support, Large)의 개발에 나섰으나 처음부터 난항을..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10 11:10 am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33)-소형상륙지원정
33. 소형상륙지원정(LCSS) 미해병대는 일찍부터 상륙준비포격으로 상륙해안의 방어선을 완전히 무력화시킬 수는 없으며, 기관총이나 소구경 화포가최초 제파와 동시에 해안에 도착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따라서 해..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09-08 11:09 am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