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로고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

http://https://blog.naver.com/imkcs0425?fromRss=true&trackingCode=rss
서로이웃 안 받습니다...........내과 전문의 김추성 평화는 강자의 특권이다. 약자는 평화를 누릴 자격이 없다. - 윈스턴 처칠
블로그"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에 대한 검색결과1578건
  • [비공개] 상륙함정(18)-전차상륙함(3)  

    18. 전차상륙함(3) - 파생형 넓은 전차갑판과 노천갑판을 가진 전차상륙함(LST = Landing Ship, Tank)은 여러 형태의보조함으로개조되었는데, 초기에는 이미 완성된 전차상륙함들을 개조했지만 나중에는 건조 도중에 개조되었다. 이..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17)-전차상륙함(2)  

    17. 전차상륙함(2) -특성 및 운용 함장이나 승무원 입장에서 전차상륙함(LST = Landing Ship, Tank)은 결코 편한 함정이 아니었다. 흘수가 얕고 함폭이 넓어서 복원력은 강했지만 횡동요(rolling) 주기가 너무 짧아 멀미가 심했다. (횡동..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16)-전차상륙함(1)  

    16. 전차상륙함(1) - 개발 및 생산 미해군은 제2차 세계대전당시 상륙함정의 개발 과정에서영국해군으로부터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1940년 6월에 유럽 대륙에서치욕스럽게 쫓겨난 영국은 다시 유럽 대륙으로 돌아가는 것을 지..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15)-기갑상륙장갑차(LVTA)  

    15. 기갑상륙장갑차(LVTA) 해병대가 상륙장갑차(LVT = Landing Vehicle, Tracked)를 채택한 목적은 상륙작전에서의보급품 수송이었고, 병력 수송도 가능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곧 해병대는 상륙장갑차가 상륙시 상륙주..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14)-상륙장갑차(LVT)  

    14. 상륙장갑차(LVT) 히긴스가 설계한 상륙주정들은 상륙작전에서 병력과 전차를 상륙시키는문제를 해결했다. 상륙작전에는 또다른 문제가 있었는데 그것은 빠른 시간 내에 해안에 보급품 집적소를설치하는 일이었다. 해안에..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13)-상륙주정의 부족현상  

    13. 상륙주정의 부족현상 제2차 세계대전 전 기간을 통하여 상륙주정의 부족 현상은 서방 연합군의 전략적 선택을 제약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다. 미육군이 1942년에 영국해협을 건너 프랑스를 침공하겠다는 슬레지해머 작..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12)-기계화상륙정(LCM)  

    12. 기계화상륙정 (LCM) 1930년대 초반부터해병대는 병력과 동시에 전차를 상륙시키기를 원했는데 당시까지 사용되던 무동력 야포수송정으로는 그것이 불가능했다. 해병대는 1935년 12월에 5.4톤을 싣고 13노트로 상륙할 수 있는 ..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11)-차량/병력상륙정(LCVP)  

    11. 차량/병력상륙정(LCVP)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이루어진 소형 상륙주정의 가장 중요한 발전은 병력용 주정과 차량용 주정이 차량/병력상륙정(LCVP = Landing Craft, Vehicle, Personnel)으로 통합된 것이었다. (차량/병력상륙정) 대형병력..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10)-램프의 채택  

    10. 램프의 채택 1937년에 빅터 크룰락 해병소령은 중국에 파견되어 있었다. 그는 국민당군의 옵저버 자격으로 상하이 전투를 참관했는데 그때 쌍안경으로 일본군의 특이한 상륙주정을 목격했다. 일본군이 가득 탄 주정이 해..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9)-히긴스 보트  

    9. 히긴스 보트 1932년이 되자 해병대는 더 이상A형 바지처럼 100 명 이상이 타는커다란 상륙주정을 원하지 않았다. 커다란 상륙주정은 적의 기관총 앞에 표적을 한꺼번에 갖다주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1934년 3월에 해병대는 ..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8)-초창기의 상륙주정들  

    8. 초창기의 상륙주정들 미국이만든 최초의 상륙주정은 AP-1 헨더슨을 위해 만든 무동력의 대형 평저선(scow)이었다. 야포를 수송하는 이 평저선은 동력을 가진 병력용 보트의 뒤에 매달려 해안 부근까지 와서해안에 설치한 권..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7)-전간기의 화물수송함  

    7. 전간기의 화물수송함 1941년 2월에 카리브 해에서 실시된 제7회 함대상륙훈련(FLEX 7)에서 병력들이 중장비와 동시에 상륙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증명되면서 해군과 해병대가 줄곧 주장해오던 화물수송함의 필요성이 확..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6)-공격수송함(APA)  

    6. 공격수송함(APA) 미해병대는AP-1 헨더슨을 운용해 본 경험을 살려 1919년 5월에 그들이 원하는 이상적인 수송함의 특성을 제시했다. 이상적인 수송함은 장교 100 명과 부사관 및 사병 1,600명을 수송할 수 있으며 함상에서 상륙부..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5)-표준선형과 고속수송함  

    5.표준선형과 고속수송함 루스벨트 대통령은 1936년에 해사위원회(Maritime Commission)를 설립했다. 전신인 선박위원회(Shipping Board)와 달리 해사위원회는예산을 직접 집행할 권한을가지고 있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

    추천

  • [비공개] 상륙함정(4)-전간기의 병력수송함  

    4. 전간기의 병력수송함(AP) 미해병대가 나중에 상륙작전용 수송함으로 발전하게 되는 전용 수송함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느끼게 된 것은 미서전쟁 이후에 미국이 카리브해와 중미 지역에 공식 및 비공식적인 식민지를 가지게 ..

    추천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메일보내기 트위터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