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공개] 말레이 해전(16)-피해
16. 피해 12월 10일 정오에 다카이 대위가 리펄스에 마지막 어뢰를 발사하고 이탈하면서 전반전이 끝났다. 이제 Z 부대는 약간의 여유를 얻게 되었고 이 시간을 이용하여 프린스오브웨일스와 리펄스에서는 고장난 대공포를 수리..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07-23 11:00 am추천 -
[비공개] 말레이 해전(15)-리펄스의 용전
15. 리펄스의 용전 다카이 사다오 대위가 이끄는 원산항공대 제2분대는 이시하라 대위의 제1분대와 헤어져 리펄스를 공격하기 위하여 접근했다. 미호로항공대 제1분대의 폭탄을 맞은 리펄스의 함미에서는 한줄기 연기가 오르..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07-21 11:00 am추천 -
[비공개] 일본군의 화산석 위장전차 [Japanese Volcanic stone..
일본군이 이오지마의 화산석으로 만들어 놓은 95식 하고 경천차의 위장 전차를 살펴보는 미군 장교 - 1945년태평양전쟁 당시 파괴된 일본군의 95식 하고 경전차괌섬에서 미 해병대가노획한 일본군 제 28 전차 연대의 95식 하고 경..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5-07-19 05:44 pm추천 -
[비공개] 이오지마의 일본군 99식 키스카 수류탄[Japanese Type99 ..
태평양전쟁 말기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이오지마에서 일본군의 반자이 옥쇄 돌격을 격퇴 시킨후노획한 일본군99식 키스카 수류탄을 미군 MK-2 수류탄과비교해 보는미시간주 디트로이트출신 조셉 D 군즈 중위 - 1945년일본군 99식..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5-07-18 08:20 pm추천 -
[비공개] 이오지마의 일본군 97식 자살 수류탄[Japanese Type 97 ..
태평양전쟁 말기 이오지마의일본군이 동굴속에서 집단 자살(일명 :옥쇄)시 사용했던97식 수류탄일본군 97식수류탄의 내부 구조영화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속의 일본군 97식 수류탄 목재 박스영화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속의 ..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5-07-18 05:56 pm추천 -
[비공개] 말레이 해전(14)-프린스오브웨일스 피격
14. 프린스오브웨일스 피격 1941년 12월 10일 오전 11시 30분, Z 부대의 레이더가 남동쪽에서 북상하는 일본기 2개 집단을 발견했다. 시라이 분대의 폭격이 끝난지 10분 만이었다. 일본기는 원산항공대 제1분대(이시하라 가오루 대위..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07-18 11:00 am추천 -
[비공개] 말레이 해전(13)-최초의 공격
13. 최초의 공격 1941년 12월 10일 오전10시 55분에 Z 부대 상공에 가장 먼저 나타난 육상공격기는 시라이 요시미 대위가 지휘하는 미호로항공대 제1분대의 96식육상공격기 8대였다. 폭탄을 장착한 육상공격기 4개 분대 중에서 3개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07-16 11:00 am추천 -
[비공개] 미군에 습격당한 일본군의 필박스[Japanese military pi..
태평양전쟁 당시 4일 동안 치뤄진뉴 브리튼섬 글로스터 곶의 비행장 쟁탈 전투후 격퇴된일본군의 필박스 내부를 살펴보는미 해군 엔지니어 부대(SeaBees)병사들 - 1943년 12월이오지마 해변에서 미 해병대에 의해 섬멸된 일본군의..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5-07-14 07:18 pm추천 -
[비공개] 부겐빌 섬의 일본군 선단을 폭격하는 미군 돈트레스 급강하 폭격기[US..
태평양전쟁 당시 솔로몬 제도부겐빌섬 남쪽 해안 토노레이 항구에 정박해 있는일본 선단을폭격하는미군 돈트레스 급강하 폭격기와 도망가는 일본 선박들 - 1943년 10월 9일부겐빌섬 해안의 일본군 선박들을 공격하는 미군 F4U-1 ..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5-07-11 04:26 pm추천 -
[비공개] 사이판 전투에서 파괴된 미군의 M5 스튜어트 경전차[US M5 Stu..
태평양전쟁 말기 사이판섬만에서미군 제 27보병사단에 의해 격퇴된일본군들의 사체와 해안에 좌초된 M5스튜어트 경전차 - 1944년 6월일본군이사이판섬 내륙에매설해 놓은대전차지뢰(對戰車地雷)를 밟아폭발시 전복된 미군의 M5..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5-07-09 05:58 pm추천 -
[비공개] 말레이 해전(11)-쿠안탄
11. 쿠안탄 1941년 12월 9일 오후 8시 15분에 남쪽으로 변침한 Z 부대는 20노트의 속력으로 싱가포르를 향하여 철수했다. 제2급 경계태세가 지속되고 있었기 때문에 Z 부대의 승조원들 중 비번인 약 3,000 명은 잠자리에 들었다. 자정..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07-09 11:00 am추천 -
[비공개] 말레이 해전(11)-쿠안탄
11. 쿠안탄 1941년 12월 9일 오후 8시 15분에 남쪽으로 변침한 Z 부대는 20노트의 속력으로 싱가포르를 향하여 철수했다. 제2급 경계태세가 지속되고 있었기 때문에 Z 부대의 승조원들 중 비번인 약 3,000 명은 잠자리에 들었다. 자정..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07-09 11:00 am추천 -
[비공개] 말레이 해전(10)-일촉즉발
10. 일촉즉발 Z 부대가 해상에 나온 사실을 알게 된 일본군은 재빨리 반응했다. 남파함대 사령장관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은 자신이 동원가능한 전력(중순양함 5척, 경순양함 2척, 구축함 5척)으로 Z 부대를 공격하기로 결심했다.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07-07 11:00 am추천 -
[비공개] 말레이 해전(9)-출항
9. 출항 1941년 12월 8일 오후 5시 10분, Z 부대는 구축함 테네도스, 호주구축함 뱀파이어, 리펄스, 프린스오브웨일스의 순서로 출항했다. 구축함 엘렉트라와 익스프레스는 이미 출항하여 창기 곶 부근에서 기뢰제거기를 시험하고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07-04 11:00 am추천 -
[비공개] 말레이 해전(8)-개전
8. 개전 코타바루는 말레이 반도 북동쪽에 있으며 인도부대인 제3/17 도그라 대대가 10km 의 해안선을 지키고 있었다. 1941년 12월 8일 0시가 막 지났을 때 초병이 해안선에서 약 3km 떨어진 해상에서 3척의 수송선을 발견했다. 잠시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07-02 11:00 am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