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24)-영령 보르네오(1)
24. 영령 보르네오(1) - 상륙 말레이 사령관 아서 퍼시발 중장의 관할구역에는 영령 보르네오도 포함되어 있었다. 보르네오는 원시의 섬이었다. 해안은 맹그로브와 늪으로 덮였고 섬 면적의 90% 는 빽빽한 정글로 섬 내부는 거의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2-16 11:00 am추천 -
[비공개] 이오지마에서 파괴된 일본군 나카지마 B6N 텐잔 뇌격기의 잔해 -De..
이오지마 해변에서 파괴된 일본군 전투기의 잔해 옆에서 아침 식사를 하는 미 해병대원 - 1945년 이오지마(유황도)의 화산재 모래 해변에서 파괴된 모습으로 태평양전쟁 막바지에 일본의 몰락을 여실히 드러내어 보여 주는 일..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6-02-15 06:38 p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23)-페낭 함락
23. 페낭 함락 말레이 북서쪽 케다 주를 지키던 제11인도사단이 급속히 후퇴하면서 페낭 섬이 위험해졌다. 페낭 섬은 말레이와 인도 및 실론을 잇는 해저전선의 종착지로서 항구와 고정방어시설을 갖추고 막대한 양의 탄약과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1-26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22)-케란탄 철수
22. 케란탄 철수 말레이 북서쪽 지트라에서 제11인도사단이 사에키 정진대와 격전을 벌이는 동안 말레이 북동쪽 케란탄 주에서는 제8인도보병여단이 다쿠미 지대에게 코타바루를 내주고 마창 남쪽에 방어선을 펴고 있었다. 11..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1-22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21)-구룬 전투
21. 구룬 전투 구룬은 알로스타에서 남쪽으로 30km 정도 떨어져 있었다. 방어선은 구룬 시가지에서 5km 정도 북쪽에 있었는데 이곳의 지형은 알로스타로 통하는 도로의 서쪽에 해발 1,350m 의 케다 산이 있었고 철도의 동쪽 3km 부터..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1-19 11:00 am추천 -
[비공개] 불타는 미군 M4 셔먼 전차 - Burning US Army M4 S..
북아프리카 튀니지에서 독일군 대전차포에 명중되어 불탄 후 까맣게 그슬된 미군 M4 셔먼 전차 - 1943년 1월 노르망디 북부 칼바도스(Calvados)의 생 랑베르 쉬르 디브(Saint-Lambert-sur-Dives) 마을에서독일군의 공격을 받아 불타는 캐나..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6-01-17 07:22 pm추천 -
[비공개] 과달카날 마타니카우강 하구에서 파괴된 일본군 97식 치하 전차 Des..
태평양전쟁 당시 과달카날 제도 솔로몬섬 마타니카우강 하구에서 미 해병대 대전차포의 직격탄에 밎아 파괴된 일본군 제 1 독립 전차 중대의 95t식 하고 전차와 2대의 97식 치하 전차 - 1942년 10월 24일 과달카날 제도 솔로몬섬 마..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6-01-17 05:00 p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9)-지트라 전투(3)
19. 지트라 전투(3) - 분석 지트라의 패배는 말레이의 영국군에게 치명적었다. 일본제5사단의 주력은 전투에 참가하지도 않았다. 전차 1개 중대와 산포 1개 중대의 지원을 받는 보병대대 2개로 이루어진 사에키 정진대는 준비된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1-12 11:00 am추천 -
[비공개] 마샬 군도 콰잘렌 환초의 일본군 41식 75mm 산포- Imperia..
태평양전쟁 당시 마샬 군도 콰잘렌 전투시 파괴된 일본군 41식 75mm 산포 앞에 엎드려 일본군 거점에 사격을 가하는 미 해병대원 - 1944년 2월 마샬 군도 콰잘렌 환초 전투시 파괴된 일본군 41식 75mm 산포 앞에서 사살된 일본군 포..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6-01-10 06:57 pm추천 -
[비공개] 태평양전쟁 당시 미국 오클랜드 일본인 상점의 슬로건 -Pacific ..
I AM AN AMERICAN - 1942년 4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일본인 상점 태평양전쟁 당시 하와이 진주만 기습 폭격후 프랭크린 루즈벨트 대통령의 미국내 일본인들의 격리지구 강제 이송 정책에 따라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 상점..슈트름게슈쯔의 밀리터리와 병기|2016-01-06 05:00 p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8)-지트라 전투(2)
18. 지트라 전투(2) - 철수 지트라 방어선에 대한 사에키 정진대의 공격은 1941년 12월 12일 새벽에 시작되었다. 새벽 3시 30분에 일본군 선두가 도로 교차점을 지키던 제1레스터셔대대의 우익 중대를 공격하자 영국군은 야포 사격..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1-05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5)-태국침공
15. 태국 침공 태평양전쟁이 발발했을 때 태국육군은 5개 사단, 약 50,000명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제대로 훈련된 병력은 26,500명 정도였다. 공군은 약 240대의 항공기를 보유했는데 93대는 1940년 12월에 일본이 제공한 기체였다..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12-19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4)-제143연대의 상륙
14. 제143연대의 상륙 싱고라 북쪽에서는 제15군 소속인 제55사단의 보병제143연대가 태국 남부에 상륙하고 있었다. 제143연대를 실은 수송선 7척은 제25군을 실은 선단과 함께 항해하다가 1941년 12월 7일 오전 10시 30분에 태국만 해..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12-17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2)-크로함락
12. 크로 함락 제5사단 보병제42연대장 안도 타다오 대좌의 이름을 딴 안도지대는 태국 남부의 파타니에 상륙했다. 안도지대는 보병제42연대를 기간으로 전차제1연대제1중대, 수색제5연대제2중대, 야포병제5연대제3대대(제9중대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12-12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1)-코타바루 함락
11. 코타바루 함락 코타바루 해안에 상륙한 다쿠미 지대는 해안을 지키던 영국제3/17도그라스대대로부터 강력한 저항을 받았다. 제1차 상륙은 1941년 12월 8일 오전 2시 15분부터 시작되었다. 상륙 해안은 서쪽의 바당과 동쪽의 사..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5-12-10 11:00 am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