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61)-항복권고문 투하
61. 항복권고문 투하 1942년 2월 11일 새벽이 되었을 때 서부지구사령부는 밤새 제12여단에게 벌어진 사태가 얼마나 심각한지 몰랐다. 부킷판장이 뚫렸다는 소식을 들은 서부지구사령부는 11일 새벽 2시 15분, 톰포스 지휘관 토머..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8-05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60)-부킷티마 함락
60. 부킷티마 함락 일본제5사단의 보병제42연대는 10일 저녁에 초아추캉 도로를 따라 진격하여 제12여단(파리스 준장)을 공격했다. 11마일 이정표 지역을 지키던 제4/19하이드라바드대대는 일격에 패배하여 부킷판장을 통하여 도..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8-02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7)-근위사단 상륙
57. 근위사단 상륙 둑길 지역을 지키던 제27호주여단(맥스웰 준장)은 9일 새벽에 인접한 제22호주여단 구역에 일본군이 상륙했다는 보고를 받았다. 제2/29호주대대를 서부지구사령부에 빼앗겨 2개 대대만 가지고 있던 맥스웰 준..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7-22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5)-상륙(3)
55. 상륙(3)-제2/19호주대대구역 제22호주여단의 좌익은 로버트슨 소령의 제2/19호주대대가 맡았다. 대대본부는 베리강 북쪽의 언덕에 있었으며 해안방어선은 페르감 강을 경계로 우익은 B 중대(키건 소령), 좌익은 D중대(빈센트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7-15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4)-상륙(2)
54. 상륙(2) - 제2/18호주대대 구역 제22호주여단의 중앙을 지키던 제2/18호주대대의 우익은 A 중대(존스턴 대위), 좌익은 C 중대(오케이 대위)가 지키고 있었다. 제2/18호주대대 구역에 상륙한 일본군은 제18사단의 좌익대였다. 제18..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7-12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2)-일본군의 상륙준비
52. 일본군의 상륙준비 일본제25군은 1941년 12월 8일에 싱고라, 파타니 및 코타바루에 상륙한 이래 55일 만에1,100km 를 진격하여 말레이 반도를 장악했다. 해상기동 거리는 650km 였다. 일본군은 말레이 반도에서 95회의 교전을 치렀..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7-05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1)-싱가포르 섬 방어(3)
51. 싱가포르 섬 방어(3) - 병력 배치 1942년 2월 5일에 4척으로 이루어진 마지막 증원선단이 싱가포르에 도착했다. 여기에는 제18사단의 나머지 병력과 인도군 보충병, 그리고 차량을 비롯한 장비가 실려 있었다. 선단은 5일 오전 1..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28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0)-싱가포르 섬 방어(2)
50. 싱가포르 섬 방어(2) - 지상군의 상황 1942년 1월 31일에 싱가포르 섬으로의 철수가 완료되면서 말레이 사령관 아서 퍼시발 중장이 섬의 모든 병력에 대해 작전지휘권을 장악했다. 수비대의 총 병력은 약 85,000 명이었으나 약 15..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24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6)-엔다우 양륙
46. 엔다우 양륙 말레이 반도의 동해안에서는 호주군이 후퇴하면서 일본군 보병제55연대가 1월 21일에 엔다우를 점령하고 22일에는 일본군 정찰대가 메르싱 강에서 제2/20호주대대와 접촉했다. (메르싱과 엔다우. Australia in the War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03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4)-항공작전(1942.1.15-31)
44. 항공작전(1942.1.15-31) 1942년 1월 15일 - 24일에 걸쳐 연합군 항공기의 숫자는 평균 폭격기 74대, 전투기 28대였다. 여기에 대하여 일본군은 태국 남부와 말레이에 폭격기 250대와 전투기 150대를 전개하고 있었다. 빈약한 연합군 항..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5-27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2)-제45여단의 고난
42. 제45여단의 고난 1942년 1월 19일이 되자 바크리를 지키고 있던 제45인도보병여단의 운명은 급격하게 악화되었다. 19일 아침에 일본군 2개 대대가 남쪽으로부터 바크리를 공격했다. 바크리 시가지를 노린 근위보병제4연대제2대..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5-17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1)-부킷펠란독 함락
41. 부킷펠란독 함락 1942년 1월 17일에 서부부대사령관 고든 벤넷 소장은 바크리를 지키던 제45인도보병여단장 허버트 던칸 준장에게 반격을 실시하여 무아르를 탈환하라고 명령했다. 던칸 준장은 18일에 반격을 실시하기로 했..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5-13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0)-무아르 함락
40. 무아르 함락 1942년 1월 15일 아침에 무카이데 지대가 게마스에서 패배하자 제5사단 주력이 나섰다. 제5사단장 마츠이 다쿠로 중장은 보병제9여단(보병제11 및 제41연대)에 무카이데 지대를 편입한 후 간선도로를 따라 게마스..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5-10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39)-게마스 전투
39. 게마스 전투 쿠알라룸푸르를 점령한 1942년 1월 11일자 일본제25군 사령부의 정세판단에 따르면 후퇴 중인 영국군은 싱가포르 섬 이북의 마지막 자연방어선인 무아르 강에 의존하여 조호르를 방어하려고 할 것이었다. 제25군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5-03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38)-쿠알라룸푸르 함락
38. 쿠알라룸푸르 함락 1942년 1월 4일에 제8호주사단장 고든 베넷 소장이 말레이 사령관 퍼시발 중장에게 제안을 했다. 제3인도군단이 남하하여 조호르에 진입할 경우 자신의 지휘 아래 두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제8호주사단이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4-29 11:00 am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