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전쟁에 대한 검색결과908건
  • [비공개] 필리핀 함락(79)-공격준비사격  

    79. 공격준비사격 1942년 5월에 접어들면서 일본군의 야포와 항공기는 공격준비사격 단계로 옮겨갔으며 제4사단은 상륙정에 승선할 준비를 시작했다. 5월 1일의 포격 및 공습은 여태까지 최대 규모였던 4월 29일의 규모를 넘어섰..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78)-코레히도르의 마지막 한달  

    78. 코레히도르의 마지막 한달 코레히도르에서는 야외에서 지내던 병사들이 안전한 말린타 터널 내에서 지내는 사람들에게 공공연히 불평을 터뜨렸다. 그러나 1942년 4월이 되자 말린타 터널 안도 점차 지내기 어려워졌다. 사람..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76)-코레히도르의 방어태세  

    76. 코레히도르의 방어태세 1941년 12월 말까지 코레히도르의 지상방어병력은 포병에서 차출한 병력들이었다. 이들은 포병으로 임무를 수행하다가 적이 상륙하면 보병으로서 싸우게 되어 있었는데 이런 방식으로는 적의 상륙에..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75)-코레히도르 공격계획  

    75. 코레히도르 공격계획 1942년 4월 9일에 루손군이 항복하자 제14군사령관 혼마 마사하루 중장은 즉시 코레히도르 공격을 준비했다. 혼마 중장은 루손군이 항복한 당일인 9일 정오에 제4사단장 기타노 겐조 중장에게 코레히도..

    추천

  • [비공개] 3-4년 만에 다시 방문한 USS 팜파니토  

    안녕하세요. 골든보이 입니다. 이번에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8시간 가량 대기하면서 8시간을 공항에서 기다리는 것 보다는 좀 무리를 해서라도 피어 45에 위치하고 있는 함상공원에 가는 것이 낫다고 판단. 짐을 매고 2시간 가..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73)-민다나오 함락(2)  

    73. 민다나오 함락(2) - 라나오 지구 1942년 4월 29일 아침에 코타바토 북쪽의 파랑에 상륙한 가와구치 지대의 주력은 해안에서 강력한 저항을 받았다. 파랑을 지키던 부대는 칼릭스토 드쿠 대령의 제1사단제2보병연대(PA)로서 총 ..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71)-비사야 함락  

    71. 비사야 함락 1942년 3월 4일에 비사야군이 창설되었을 때 사령관 브래포드 치노웨스 준장이 보유한 병력은 약 20,000명으로 6개의 섬을 관장하는 5개의 사령부로 이루어져 있었다.가장 많은 병력을 보유한 것은 앨버트 크리스..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70)-민다나오와 비사야  

    70. 민다나오와 비사야 개전 이래 4개월 동안 혼마 장군에게는 루손과 남부 필리핀을 동시에 공격할만한 병력이 없었다. 따라서 1941년 12월 말에 민다나오의 다바오를 점령한 이래 남부 필리핀에 대한 작전은 항공기와 함정에 ..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69)-공습 하의 생활  

    69. 공습 하의 생활 1941년 12월에서 42년 1월 초에 걸친 일본군의 공습 이후 코레히도르와 4개 요새섬의 병사들은 피해를 복구하고 방어를 강화했다. 말린타터널에서는 1921년 시작되었다가 워싱턴조약으로 중단되었던 확장공사..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67)-코레히도르  

    67. 코레히도르 일본은 바탄반도를 점령해도 극동 제일의 양항인 마닐라항을 사용할 수 없었다. 마닐라항을 사용하고 싶으면 코레히도르를 포함하여 마닐라만의 입구를 감제하는 해상요새 4개를 무력화시켜야 했다. (코레히도..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66)-루손군 항복  

    66. 루손군 항복 루손군 사령관 킹 소장이 항복가능성을 처음으로 내비친 것은 4월 7일이었다. 이날 오후에 그는 자신의 참모장 아널드 풍크 장군을 코레히도르에 보내어 웨인라이트 장군에게 루손군이 곧 항복해야할지 모른다..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64)-4월 7일 : 제2군단 붕괴  

    64. 4월 7일 : 제2군단 붕괴 1942년 4월 7일부터 바탄반도의 미-필리핀군은 붕괴하기 시작했다. 방어선을 편성했다가 병력들이 다 배치되기도 전에 버려야 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으며 통신이 끊어져 상급 사령부가 일선의 상..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63)-4월 6일 : 반격실패  

    63. 4월 6일 : 반격실패 4월 3일에 일본군이 공격을 개시하여 방어선을 돌파하자 루손군 사령부는 반격을 가하여 방어선을 회복시킬 계획을 세웠다. 공격을 당한 제2필리핀군단의 예비대는 첫날부터 방어에 투입되었고 나머지 ..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61)-공격 개시  

    61. 공격 개시 일본군이 공격을 개시한 1942년 4월 3일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날인 성금요일(Good Friday)이었다. 이날 아침 사맛산 정상에 있던 제41사단(PA)포병대의 관측장교 2명은 일본군 전선에서 후방으로 약 3km - 5km 사이에..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60)-전투준비(2)  

    60. 전투준비(2) - 일본군 미-필리핀군과 마찬가지로 일본군도 휴지기를 이용하여 전투준비를 했다. 제14군사령관 혼마 중장은 지친 병사들을 휴식시킨 후 새로 도착한 증원군과 함께 훈련을 실시하는 한편 공격계획을 수립했다..

    추천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 61  다음

메일보내기 트위터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