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로고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

http://https://blog.naver.com/imkcs0425?fromRss=true&trackingCode=rss
서로이웃 안 받습니다...........내과 전문의 김추성 평화는 강자의 특권이다. 약자는 평화를 누릴 자격이 없다. - 윈스턴 처칠
블로그"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에 대한 검색결과1578건
  • [비공개] 필리핀 함락(45)-츠네이로대대 전멸  

    45. 츠네이로대대 전멸 롱고스카와얀곶에서 소탕전이 벌어지는 사이 북쪽으로 11km 떨어진 퀴나완곶에서도 츠네이로 중좌가 지휘하는 보병제20연대제2대대 주력에 대한 소탕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일본군의 바탄상륙. http://www...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44)-롱고스카와얀곶 소탕  

    44. 롱고스카와얀곶 소탕 (일본군의 바탄상륙. http://www.ibiblio.org/hyperwar/USA/USA-P-PI/USA-P-PI-17.html#17-1 P.297) 해군대대장 브리젯 중령은 롱고스카와얀 및 라피아이곶에 상륙한 일본군을 몰아내기 위하여 해군대대 병력을 증파함과 동..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43)-츠네이로대대의 상륙  

    43. 츠네이로대대의 상륙 미-필리핀군 방어선 뒤의 바탄반도 서해안에 병력을 상륙시킨다는 발상은 제14군 사령관 혼마 중장에게서 나왔다. 혼마 중장은 1942년 1월 14일에 기무라 소장을 불러 바탄반도의 전황에 대해 이야기를 ..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42)-지원사령부지역  

    42. 지원사령부지역(Service Command Area) 맥아더 장군이 주전투진지의 포기를 결정한 1942년 1월 22일에 서해안의 일본군은 바탄반도의 남쪽에 대담한 상륙작전을 시도했다. 일본군은 2개 대대를 동원하여 3번에 걸쳐 3곳에 상륙했는..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41)-주전투진지 포기  

    41. 주전투진지 포기 코레히도르에 있던 맥아더 장군은 바탄에 설치한 극동미육군전진사령부를 통하여 전투 경과를 매일 보고받고 있었다. 전진사령부로부터의 보고가 점점 비관적으로 바뀌자 1942년 1월 22일에 맥아더 장군의 ..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40)-마우반 방어선(2)  

    40. 마우반 방어선(2) - 도로봉쇄점 전투 1942년 1월 18일 아침부터 기무라 지대가 공격을 시작하자 제1필리핀군단장 웨인라이트 장군은 적의 전력이 증강되었다는 것을 눈치채고 전초선의 병력을 주저항선으로 후퇴시켰다. 이후 ..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39)-마우반 방어선(1)  

    39. 마우반 방어선(1) - 모론 공방전 제1필리핀군단이 지키는 마우반선은 동쪽의 실랑가난산 기슭에서 마우반 능선을 따라 서쪽으로 뻗어 서해안의 마우반에 걸쳐 있었다. 방어선의 동쪽 끝인 실랑가난산 기슭은 제1보병연대(PA)..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38)-아부케이 방어선(3)  

    38. 아부케이 방어선(3) - 반격실패 1942년 1월 16일 저녁에 아부케이선의 상황은 일촉즉발이었다. 제51보병연대의 패주로 인하여 제51사단이 맡고 있던 아부케이선의 서쪽 전체가 무너졌다. 제51사단의 방어선을 복구하지 못하면 ..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37)-아부케이 방어선(2)  

    37. 아부케이 방어선(2) - 위기일발 1942년 1월 12일 하루동안 일본군 제65여단은 서쪽으로 주공을 옮기면서도 아부케이선에 대한 압박을 유지했다. 일본군은 제57보병연대 전방에서 칼라귀먼강 남안에 다시 발판을 마련했고 중앙..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36)-아부케이 방어선(1)  

    36. 아부케이 방어선(1) 제65여단은 1942년 1월 9일 오후 3시에 공격을 시작했다. 제2필리핀군단 지역을 강타한 포격에 이어 보병이 진격을 시작했다.제65여단장 나라 중장은 공격을 시작하면서 두가지 착각을 하고 있었다. 하나는 ..

    추천

  • [비공개] (스포주의)영화 덩케르크에서의 프랑스병사  

    영화에 대한 감상평은 인터넷에 좋은 거 많으니까 알아서 찾아보시고.. 르몽드 지가 영화 덩케르크에서 놀란 감독이 프랑스군에 대해 영 안좋게 찍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고 하던데.. http://extmovie.maxmovie.com/xe/index.php?utm_content=b..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35)-일본군의 상황 및 계획  

    35. 일본군의 상황 및 계획 미-필리핀군이 바탄반도에서 방어준비에 여념이 없는 동안 일본제14군은 약화되었다. 원래 계획에 따르면 필리핀 점령은 개전 이후 50일 내에 마쳐야 하며 이후에 제14군의 중핵인 제48사단과 제5비행..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34)-바탄의 보급상황  

    34. 바탄의 보급상황 바탄의 보급상황은 처음부터 심각했으며 갈수록 악화되었다. 오렌지계획에 따르면 바탄에는 43,000명이 6개월 동안 사용할 보급품을 축적해야 했다. 맥아더 장군이 이 계획을 폐기하고 해안에서 적과 싸우..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33)-바탄방어태세  

    33. 바탄방어태세 잠발레스산맥의 남단에 위치한 바탄반도는 마닐라만과 수빅만 사이에 엄지손가락처럼 삐져나와 있다. 바탄반도와 남쪽 캐비테주 해안과의 거리는 약 19km 이며 그 사이에는 코레히도르를 비롯한 몇개의 섬이 ..

    추천

  • [비공개] 필리핀 함락(32)-마닐라 함락  

    32. 마닐라 함락 맥아더 장군은 1941년 12월 26일에 마닐라를 비무장 도시(open city)로 선언했다. 신문은 이 사실을 대문짝만하게 보도했고 마닐라 방송국도 하루종일 방송했다. 시청 앞에는 '비무장 도시' 라는 현수막이 걸렸으며 ..

    추천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05  다음

메일보내기 트위터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