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로고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

http://https://blog.naver.com/imkcs0425?fromRss=true&trackingCode=rss
서로이웃 안 받습니다...........내과 전문의 김추성 평화는 강자의 특권이다. 약자는 평화를 누릴 자격이 없다. - 윈스턴 처칠
블로그"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에 대한 검색결과1578건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8)-지트라 전투(2)  

    18. 지트라 전투(2) - 철수 지트라 방어선에 대한 사에키 정진대의 공격은 1941년 12월 12일 새벽에 시작되었다. 새벽 3시 30분에 일본군 선두가 도로 교차점을 지키던 제1레스터셔대대의 우익 중대를 공격하자 영국군은 야포 사격..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7)-지트라 전투(1)  

    17. 지트라 전투(1) - 서전의 참패 투우사 작전 실시를 책임지고 있던 제11인도사단은 개전과 동시에 작전 실시가 불가능해지자 지트라 방어에 주력했다. 지트라 방어선은 미완성이었다. 노동력이 부족하여 병사들이 직접 방어..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6)-항공작전(41.12.9-12)  

    16. 항공작전(41.12.9-12) 일본 육해군은 말레이 상륙 당시 육군항공대는 코타바루 및 케다 주의 항공력을, 해군항공대는 싱가포르의 항공기, 함정 및 군사시설을 공격하기로 합의했다. 공습 시간에 있어서 육군과 해군의 의견이 ..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5)-태국침공  

    15. 태국 침공 태평양전쟁이 발발했을 때 태국육군은 5개 사단, 약 50,000명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제대로 훈련된 병력은 26,500명 정도였다. 공군은 약 240대의 항공기를 보유했는데 93대는 1940년 12월에 일본이 제공한 기체였다..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4)-제143연대의 상륙  

    14. 제143연대의 상륙 싱고라 북쪽에서는 제15군 소속인 제55사단의 보병제143연대가 태국 남부에 상륙하고 있었다. 제143연대를 실은 수송선 7척은 제25군을 실은 선단과 함께 항해하다가 1941년 12월 7일 오전 10시 30분에 태국만 해..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3)-싱고라상륙  

    13. 싱고라 상륙 제5사단 주력을 실은 수송선 10척과 병원선 1척은 1941년 12월 7일 오전 10시 30분에 태국만 해상의 G점을 떠나 싱고라로 향했다. 제5사단의 주력은 제25군사령부, 제5사단사령부, 보병제9여단사령부, 보병제11연대, ..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2)-크로함락  

    12. 크로 함락 제5사단 보병제42연대장 안도 타다오 대좌의 이름을 딴 안도지대는 태국 남부의 파타니에 상륙했다. 안도지대는 보병제42연대를 기간으로 전차제1연대제1중대, 수색제5연대제2중대, 야포병제5연대제3대대(제9중대 ..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1)-코타바루 함락  

    11. 코타바루 함락 코타바루 해안에 상륙한 다쿠미 지대는 해안을 지키던 영국제3/17도그라스대대로부터 강력한 저항을 받았다. 제1차 상륙은 1941년 12월 8일 오전 2시 15분부터 시작되었다. 상륙 해안은 서쪽의 바당과 동쪽의 사..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10)-코타바루 상륙  

    10. 코타바루 상륙 1941년 12월 7일 오전 9시 30분에 태국 만의 상봉 지점(G점)에 도달한 일본선단은 1시간 후 각자의 목적지를 향하여 흩어졌다. 다쿠미 지대를 실은 선단은 영령 말레이 북단의 코타바루로 향했다. 보병제23여단장 ..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9)-개전  

    9. 개전 1941년 10월부터 극동총사령부에는 일본군이 상하이에서 주정을 건조하고 하이난 섬에서는 정글전 훈련을 하고 있으며 남부 인도차이나에 비행장을 건설 중이고 일본선박들은 일본이 지배하는 해역으로 모이고 있다는 ..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8)-방어태세  

    8. 방어태세 일본과의 전쟁이 벌어질 당시 말레이 반도의 연합국 공군 세력은 영국, 호주 및 뉴질랜드 공군기로 이루어져 극동공군사령관(Air Commander, Far East) 콘웨이 펄포드 공군소장의 지휘를 받았다. 극동공군사령부는 싱가..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7)-제25군  

    7. 제25군 남방작전에서 말레이 침공을 담당한 것은 야마시타 도모유키 중장이 지휘하는 제25군이었다. 제25군은 제5사단, 제18사단, 근위사단과 직할부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일본은 제25군에 차량을 집중시켜 제5사단과 근위사..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6)-남방작전  

    6. 남방작전 일본의 전략적 아킬레스 건은 석유였다. 군국주의자들은 석유의 자급자족을 이루지 못하는 한 일본은 영원히 미국이나 영국과 대등한 관계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서태평양에서 석유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영..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개전 결정  

    5. 개전 결정 1941년 6월 22일에 독일이 소련을 공격함으로써 만주에 대한 위협이 사라지자 일본은 본격적으로 남방진출을 서둘렀다. 7월 12일에 비시 주재 일본대사가 비시 프랑스 수상인 페탱 원수에게 7월 20일까지 프랑스령 남..

    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짙어가는 전운  

    4. 짙어가는 전운 1939년 9월에 유럽에서 전쟁이 터지자 기세등등하게 중국에서 활동 중이던 연합군의 강상포함과 중국 주둔 수비대의 철수를 요구했던 일본은 일단 폴란드가 붕괴하고 겨울로 접어들면서 가짜 전쟁이 이어지자..

    추천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05  다음

메일보내기 트위터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