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4)-상륙(2)
54. 상륙(2) - 제2/18호주대대 구역 제22호주여단의 중앙을 지키던 제2/18호주대대의 우익은 A 중대(존스턴 대위), 좌익은 C 중대(오케이 대위)가 지키고 있었다. 제2/18호주대대 구역에 상륙한 일본군은 제18사단의 좌익대였다. 제18..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7-12 11:00 am추천 -
추천
-
[비공개] 내 블로그는 한마디로 뭐다?
나도 놓쳤던, 내 블로그 들여다보기 매력 있네~매력 있어! 흐음.. 셔먼전차? 저게 그렇게 비중이 컸나?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7-09 09:35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3)-상륙(1)
53. 상륙(1) - 제2/20호주대대 구역 1942년 2월 8일 오전부터 일본기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일본기들은 제22호주여단의 방어선에 폭격과 기총소사를 가했다. 벤넷 소장의 서부지구 사령부도 폭탄 1발을 맞아 1명이 죽었다. 제25군 포..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7-08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2)-일본군의 상륙준비
52. 일본군의 상륙준비 일본제25군은 1941년 12월 8일에 싱고라, 파타니 및 코타바루에 상륙한 이래 55일 만에1,100km 를 진격하여 말레이 반도를 장악했다. 해상기동 거리는 650km 였다. 일본군은 말레이 반도에서 95회의 교전을 치렀..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7-05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1)-싱가포르 섬 방어(3)
51. 싱가포르 섬 방어(3) - 병력 배치 1942년 2월 5일에 4척으로 이루어진 마지막 증원선단이 싱가포르에 도착했다. 여기에는 제18사단의 나머지 병력과 인도군 보충병, 그리고 차량을 비롯한 장비가 실려 있었다. 선단은 5일 오전 1..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28 11:00 am추천 -
[비공개] 제50사단 해안경계부대 생활이 어떻습니까?
제 아들내미가 제39사단에서 훈련을 마치고 30일에 퇴소하는데.. 이놈이 전화에 대고 제50사단 해안경계부대 걸렸다고 징징거리네요. 대충 찾아보니 제50사단 해안경계부대는 포항, 영덕, 울진 요렇게 3개 같던데.. 대대마다 하..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27 06:06 p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50)-싱가포르 섬 방어(2)
50. 싱가포르 섬 방어(2) - 지상군의 상황 1942년 1월 31일에 싱가포르 섬으로의 철수가 완료되면서 말레이 사령관 아서 퍼시발 중장이 섬의 모든 병력에 대해 작전지휘권을 장악했다. 수비대의 총 병력은 약 85,000 명이었으나 약 15..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24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9)-싱가포르 섬 방어(1)
49. 싱가포르 섬 방어(1)-해안포와 대공방어 싱가포르 섬은 길이가 50km인 조호르 해협으로 말레이 반도와 분리되어 있는데 해협의 가장 좁은 곳은 1km 가 채 되지 않는다. 영국은 가장 좁은 곳에 방죽길을 만들어 섬과 말레이 반..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21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8)-말레이 반도 상실
48. 말레이 반도 상실 1942년 1월 26일 저녁에 퍼시발 중장은 ABDA 최고사령부에 전문을 보내어 서해안에서 일본군의 공세가 거세고 동해안에 일본군이 상륙했기 때문에 1주일 이내로 싱가포르 섬으로 철수해야 할 것 같다고 보고..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17 11:00 am추천 -
[비공개] 최진기 tvN 미술특강, 엉뚱한 그림을 장승업 작품으로 소개
최진기 저사람 전에 전쟁사 관련해서도 헛소리하더니 기어이 사고를 쳤네. 그러게 자기 아는 것만 하지 왜 자기 능력에 닿지 않는 욕심을 부리나.. 사실 경제도 고등학교 수준이지 실물 경제에 대해서는 아는 것도 없더구만..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14 11:01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7)-제22여단 소멸
47. 제22여단 소멸 1942년 1월 26일 오후에 제3군단장 히스 중장은 조호르 철수계획을 하달했다. 여기에 따라 동부부대는 28일 아침에 제말루앙을 떠나 30일에 조호르바루에 도착했다. 서해안의 제11사단은 동부부대가 철수할 때까..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14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6)-엔다우 양륙
46. 엔다우 양륙 말레이 반도의 동해안에서는 호주군이 후퇴하면서 일본군 보병제55연대가 1월 21일에 엔다우를 점령하고 22일에는 일본군 정찰대가 메르싱 강에서 제2/20호주대대와 접촉했다. (메르싱과 엔다우. Australia in the War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6-03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5)-제15여단의 탈출
45. 제15여단의 탈출 1942년 1월 24일 아침 현재 제3인도군단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동해안에서는 동부부대가 메르싱 강을 경계로 일본군과 접하고 있었다. 간선도로에서는 서부부대가 포진해 있었다. 제9사단(제 8 및 제22인도여..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5-31 11:00 am추천 -
[비공개] 싱가포르 함락(44)-항공작전(1942.1.15-31)
44. 항공작전(1942.1.15-31) 1942년 1월 15일 - 24일에 걸쳐 연합군 항공기의 숫자는 평균 폭격기 74대, 전투기 28대였다. 여기에 대하여 일본군은 태국 남부와 말레이에 폭격기 250대와 전투기 150대를 전개하고 있었다. 빈약한 연합군 항..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6-05-27 11:00 am추천